어릴 때부터 호칭 문제로 난감했던 경험들이 있을 것입니다. 빠른 생일, 만 나이 또는 세는 나이 등으로 다소 혼란스럽기도 했는데요. 이제부터는 만 나이 통일법으로 적용되면서 이런 문제가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.
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 개정법이 시행되었고 출생일을 기준으로 생후 1년이 되면 1살이 됩니다. 이렇게 되면 해외에서도 통용되는 나이 계산법이니 나이로 헷갈릴 일은 없을듯 합니다. 아직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피부로 와닿지도 않고 주위 사람에게 물어 봐도 만 나이에 대해 헷갈리는 분들이 많았습니다.
오늘은 만 나이가 적용되면서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, 만 나이를 적용하면서의 장·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.
만 나이 계산법
● 만 나이 통일법은 23.06.28부터 적용됩니다.
● 출생일 기준으로 생후 1년이 되었을 때, 1살이 됩니다.
● 1살 전에는 개월 수로 적용합니다.
● 생일을 맞을 때 마다 +1살씩 증가합니다.
※ 만 나이 계산법
→ 예시) 만나이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: 이번 해(2023) - 출생 연도(1982) -1= 40세
출생 연도 | 생일 전 | 생일 후 |
82년생 | 40세 | 41세 |
83년생 | 39세 | 40세 |
84년생 | 38세 | 39세 |
85년생 | 37세 | 38세 |
86년생 | 36세 | 37세 |
87년생 | 35세 | 36세 |
88년생 | 34세 | 35세 |
89년생 | 33세 | 34세 |
90년생 | 32세 | 33세 |
만 나이 통일법 이후 달라지는 점과 주의 사항
● 다양한 계약 건과 공문서, 법령 등에서 만 나이로 적용 및 해석됩니다.
● 성인이 되는 나이는 만 19세입니다.
● 청소년 보호법에서의 '청소년'은 연 19세 미만으로 규정됩니다.
● 알코올, 담배 구매 시 연 19세 기준입니다.
● 군대 가는 나이는 연 19세 기준입니다.
만 나이 통일법의 장·단점
<장점>
● 만 나이는 국제적인 통용법으로 적용되는 나이 계산법으로 다른 나라와의 연령 비교가 쉬워집니다.
● 법률 및 행정상 연령을 표시할 때, 만 나이 통일로 혼선이 줄어듭니다.
● 만 나이 통일법 적용은 세는 나이보다 -1로 적용되니 어려진 기분이 듭니다.
<단점>
● 모든 법령이 만 나이가 아닌 '연 나이'가 유지됩니다.
● 세는 나이가 익숙한 국민들에게 다소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● 만 나이는 세는 나이보다 한살 어리기 때문에 권리나 의무를 행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.
[생활 플러스 정보] -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간단히 알아보기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간단히 알아보기
국민내일배움카드란? - 급격한 기술발전에 적응하고 노동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역량개발 향상 등을 위해 국민 스스로가 직업 능력 향상과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훈
second.ok-good.co.kr
'일상 정보 더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리스마스 트리 꾸미기 [다이소 오너먼트 추천] (0) | 2023.11.29 |
---|---|
추석 인기 선물 세트 : 1~2만원대 추천 (BEST 5) (0) | 2023.09.09 |
쿠팡 체험단 4년차가 밝히는 노하우, 누구나 될 수 있다. (0) | 2023.07.17 |
외벌이 3인 가족, 한달 생활비 10만원 줄이는 노하우, 나는 이렇게 했다. (0) | 2023.07.16 |
최대 500만원 받아 가세요.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(0) | 2023.06.05 |